북마크
오마이뉴스
[민족민주열사열전 13] 인혁당사건 엮여 사형 당한 하재완 열사
2025-08-09 16:57:10
김삼웅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백범 김구 선생을 가장 존경했고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정의로운 남자, 여운형 선생도 존경했다. 하재완 선생은 4.19 당시 집에 있던 돈을 들고 서울로 가 부상자들에게 나눠주고 온 뒤 통일운동에 뛰어 들었다. 7.4남북공동선언이 발표되던 날에는 양조장 주인이었지만 술을 못했던 그가 술을 마시며 덩실덩실 춤을 췄단다.

"좋다고 고향의 봄을 부르고 녹음도 했어요. 그런 걸 보면 남편은 통일을 지향했던 사람인 건 맞아요."

그는 또한 강직한 사람이었다. 곧 감옥에서 나올 줄 알았던 그는 "정치적인 문제니까 절대로 남의 말 듣지 않고 돈 쓰지 말라"고 당부했단다.(…) 당시 하재완 선생은 혹독한 고문으로 인한 폐 농양종과 탈장으로 몸을 제대로 가눌 수 없는 상태였다. 그런 그가 유신독재를 비난하면서 자신을 중앙정보부 과잉충성의 희생양이라고 항거할 때, 그는 남편에게서 아버지의 그림자를 보게 된다. (주석 1)

하재완 열사는 1932년 1월 10일 경남 창녕군 이방면 안리에서 농사꾼 부모 슬하에서 10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다. 부모 양가의 집안에 항일운동 등 민족운동에 참여한 분들이 적지 않았다. 이방초등학교를 거쳐 해방 이듬해 6년제인 대구공업중학교에 입학했다. 뒷날 12.12 군부반란과 광주학살을 주도한 전두환과 같은 반이었다.

그는 뒷날 인혁당재건위사건으로 재판을 받으면서 제출한 <항소이유서>에서 자신이 살아온 젊은 날에 대해 진술했다.

피고인은 1947년 4월경 대구공업중학 2년 재학 시 아무것도 모르고 상급생의 강요에 못이겨 대구공업중학교 민주애국학생동맹원으로 가입 중 1948년 3월 하순경 대구지방소년원에서 군정청 포고령 위반으로 3개월 간의 교화 처분을 받고 교화 생활을 받은 사실이 있으나, 당시 피고인의 연령은 16세 소년으로서 아무 사상적 의식도 없었을 뿐 석방 후 정치적 혼란기에 아무 것도 모르고 일시적 잘못을 깨끗이 씻기 위하여 원적지에서 부모 슬하에서 근신, 가사에 종사 중 6.25 동란이 일어나고 동년 7월 모함으로 창녕경찰서에 1개월간 예비 검속된 사실이 있으나 당시 검속된 대부분이 처형되었으나 피고인은 무혐의로 석방된 것입니다.

그 후 군에 지원 입대하여 많은 노력을 하여 육군특무부대로 전속하여 대공사찰의 일선에서 만 5년간 충실히 근무하여 지난날의 일시적 잘못을 완전히 청산하였음으로 금번 사건이 일어나기 전까지 아무런 사고 없이 살아왔던 것입니다.

1950년부터 모교인 이방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할 때 6.25전쟁이 발발하고 7월에 보도연맹사건으로 예비 검속되어 창녕경찰서에 구금되었다가 1개월 후 석방되었다. 그가 보도연맹에 들어간 것인지의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수많은 사람이 보도연맹 사건으로 학살당할 때 풀려난 것은 미군 CIC 부대에 근무 중인 친척의 도움이 있었던 것으로 전한다.

하재완 열사는 제대 후 고향으로 돌아와 모교에서 교편생활을 하다가 단국대학 야간부에서 정치경제학을 수학했다. 1958년 이영교와 결혼하고 대구에서 육촌 형이 운영하던 양조장 일을 도우며 생계를 꾸렸다.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