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부부는 아이돌 덕질을 하지 않지만, 어떤 의사 선생님 덕질은 한다. '저속노화좌'로 알려진 정희원 노년내과 의사다. 2023년 1월 겨울, 정희원 선생님의 책인 <당신도 느리게 나이들 수 있습니다>를 읽고 소리를 칠 뻔했다. 너무 좋아서.
우리는 고작 삼십 대 중후반의 부부이지만 스스로를 학대하지 않는 정희원 선생님의 라이프스타일에 크게 공감했다. 저속노화는 사실 미끼 같은 말이다. 정희원 선생님이 추천하는 대로 살면 결과적으로 천천히 늙을 수 있다. 그렇지만 저속노화라는 단어를 풀어보면 몸에 부담을 주지 않는 건강하고 여유로운 생활에 가까웠다.
만성적인 피로를 달고 살았던 우리는 책 속의 느릿한 문장을 읽는 것만으로도 이완이 되었다. 이후로도 <느리게 나이 드는 습관>, <저속노화 식사법> 등의 후속작을 사서 읽으며 정희원 덕질을 계속했다. 이번 신간 <저속노화 마인드셋>도 피해 갈 수 없었다. 신간은 세간에서 오해되고, 남용되는 '저속노화 라이프'를 바로잡기 위해 낸 책이었다.
'저속노화'라는 말의 진짜 의미
가령 가장 대표적인 오류가 '렌틸콩 전도사' 같은 이미지다. 오해를 풀어보자. 저자는 흰쌀밥보다 잡곡밥을 추천한다. 정제 탄수화물인 흰쌀밥만 먹으면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기 쉽다. 또 노년기에는 장기능 저하가 흔하므로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단백질과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 잡곡밥을 권하는 것이다. 당연히 잡곡밥의 구성 및 비율은 개인의 상태나 기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렇지만 TV 방송이나 인터뷰에서는 자극적이고 단순한 콘텐츠를 선호하기 마련! 그 탓에 예시로 언급한 '렌틸콩 잡곡밥'이 정희원 교수의 필수 아이템처럼 부각된 것이다. <저속노화 마인드셋>에서는 모든 종류의 집착을 경계하라고 강조한다.
누구나 가능한 실천법 하나: 수면
저속노화의 핵심은 중용과 지속적인 실천이다. 정희원 선생님은 자주 몸을 움직이고, 마음을 돌볼 '가처분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일은 줄이고 그 시간에 운동을 하고 현재에 집중하기 위한 '명상'이나 '악기연주'를 하라니 참 좋은 인생이다. 나는 이 말에 깊이 동의하지만 사정에 따라 실천이 어려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