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월급 모아 여행 가는 발달장애 직장인들, 단짝과 떠납니다
2025-07-05 14:20:00
권유정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나의 첫 자유여행은 서른 살 유럽이었다. 자유여행은커녕 해외도 거의 가본 적 없던 내가 부모님의 환갑을 맞아 과감하게 3주짜리 가족여행을 계획했다. 슬로베니아부터 크로아티아, 스위스, 프랑스를 거치는 긴 여정이었다.

가족 중 누구도 해외 자유여행 경험이 없었고, 영어를 잘하는 사람도 없었다. 오로지 유럽여행에 대한 막연한 로망만 있었다. 인터넷만 있으면 어떻게든 될 거라 믿는 나와, 똑똑한 딸들이 어떻게든 해줄 거라 믿는 부모님이 용감하게 시도한 첫 여행이었다. 파워 'J'처럼 5~6개월 전부터 교통과 숙박, 관광지를 예약하고 만반의 준비를 갖췄지만 여행을 앞두고는 불쑥불쑥 불안이 솟구쳤다. 내색하지 않으셨지만 부모님도 같은 마음이었던 것 같다.

그렇게 떠난 첫 자유여행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약간의 어려움은 있었지만 큰 문제 없이 계획대로 모든 여정을 소화했고, 엄마는 패키지와는 다른 자유여행의 매력에 푹 빠졌다. 물론 엄마의 여행은 자유여행이라기보다는 개인 가이드가 붙은 패키지에 가까웠지만, 그래도 단체버스에 실려 무작정 따라다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만큼 시간을 보내는 여행은 엄청난 만족감을 주었던 것 같다.

나 역시 정보를 찾아 여행 계획을 세우고 낯선 여행지를 내 발로 찾아 헤매는 성취감에 매료됐다. 그때부터 틈만 나면 여행을 떠나는 게 취미가 되었다.

여행은 누구에게나 공평하지 않다

그러나 시간적, 금전적 제약을 빼면 자유여행을 떠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는 나와 달리, 엄마의 자유여행은 내가 함께할 때만 할 수 있는 제한된 기회였다. 정보 검색도, 온라인 결제도, 외국어도. 엄마의 자유여행에는 너무 많은 장벽이 있었다. 그리고 엄마의 '치트 키'인 딸은 여행마다 엄마와 동행할 만큼의 효녀는 아니었다.

세상에는 물리적, 심리적, 정보 접근성 등의 제약 때문에 여행을 가고 싶어도 가지 못하는 관광 취약 계층이 많다.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 가족 등등 누군가에게 여행은 남들과 같은 무게로 다가오지 않는다.

13년 근무한 발달장애인 대안학교를 지난 2월 퇴사하고 발달장애인들과 함께 자유여행을 꾸리는 '길 위의 스튜디오'를 시작하게 된 것은 여행을 준비하고 실행하며 그들이 얼마나 설레고 행복해 하는지, 또 여행을 통해 얼마나 성장하는지를 절실히 체감했기 때문이다.

나만의 생각은 아니었는지 감사하게도 달랑 사무실 한 칸 밖에 없는 공간에 예상보다 빠르게 참가자들이 모여들었다. 이전에 함께 여행을 한 경험이 있거나 이미 학교를 졸업해 후배들을 부러운 눈으로 바라보기만 하던 친구들이었다.

이미 오사카와 홍콩 자유여행을 함께 했던 친구들은 졸업 후에도 프로그램을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그동안 못했던 친구들은 드디어 기회가 생겼다는 것에 기쁜 마음을 표현했다. 나 역시 덥석 믿고 찾아와 준 친구들과 부모님들에게 참 감사한 마음이 들었다. 지금은 졸업생 위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해당 학교 졸업생이 아니더라도 참가할 수 있다. 기관 단위의 단체 신청도 가능하다(관련 연재 : 발달장애 대학생들과 해외 자유여행 도전기 https://omn.kr/28a17) .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