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22일 불볕더위를 뚫고 서울 마포구 성산동의 조용한 골목을 찾았다. 낮은 담장을 따라 걷다 보면, 콘크리트 벽돌로 단정하게 지은 작은 기념관이 모습을 드러낸다. 이름은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규모는 작지만, 이곳에 담긴 기억과 증언은 결코 작지 않다.
어둠 속에서 살아난 기억
이곳의 전시는 입장과 동시에 시작된다. 관람자는 입장권을 통해 한 분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와 '짝꿍'을 맺는다. 짧은 생애사가 적힌 이 티켓은 그날의 전시를 함께 걸어갈 안내자이자 동행이다. 내가 만난 이름은 강덕경 할머니. 열여섯 나이에 공장에 끌려갔다가 일본군에게 강간 당한 뒤 위안소로 넘겨져 1년여를 살아냈다. 해방 후에도 삶의 고통은 끝나지 않았다. 할머니는 그림으로 기억을 증언했고,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증언자로 살았다.
복도 끝 벽면, 거대한 영상이 흐른다. 폭력과 차별의 벽을 뚫고 나비가 날아오르는 이 장면은, 관람객을 기억의 시작으로 이끈다.
좁은 문을 지나자, 바닥에 자갈이 깔린 통로가 이어진다. 한쪽 벽면에는 군인의 총에 끌려가는 소녀들의 그림자 행렬이, 맞은편엔 나이든 할머니들의 얼굴과 손바닥 부조가 나란히 놓여 있다. 전시장으로 내려가는 계단 벽에는 피해자들이 직접 남긴 그림이 걸려 있다. 말로 다 담을 수 없는 고통, 그들이 손으로 그려낸 증언이다.
지하 전시장에 들어서면, 앞서 만난 짝꿍 할머니의 영상이 기다리고 있다. 담담한 육성과 함께 피해 당시의 신체검사서, 위안소 요금표, 제도적 장치 등이 어둡고 좁은 공간에 전시되어 있다. 낮은 조도, 침묵에 가까운 음향, 벽면을 채운 기록들은 단순한 과거가 아닌 현재의 질문으로 관람자를 끌어당긴다.
지하에서 계단을 따라 다시 올라가면 '호소의 벽'이 이어진다.
"책임을 인정하라!"
"이런 일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기를."
피해자들이 남긴 목소리는 벽면을 따라, 언어와 사진으로 살아나며 관람자의 발걸음을 붙든다. 위로 갈수록 공간은 점점 밝아지고, 침묵은 목소리로 바뀌어간다. 이곳에서 기억은 단지 과거가 아니라, 지금을 바꾸기 위한 실천의 언어로 거듭난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