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우정 검찰총장이 1일 오전 사의를 표명한 지 5시간 만에 법무부는 대검 차장검사에 노만석 대검 마약조직범죄부장을, 서울지검장에 정진우 서울북부지검장을, 법무부 검찰국장에 성상헌 대전지검장을 각각 임명했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 인선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 정부 들어 기용된 봉욱 민정수석과 이진수 법무차관(장관 직무대행)이 합을 맞춘 결과물이다.
정진우와 성상헌의 경우, 이들이 발탁될 가능성이 높다는 동아일보 보도가 나온 후 조국혁신당이 우려를 표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이른바 '친윤석열 정치검사' 명단을 대통령실에 전했지만, 약 1시간 만에 인사가 발표됐다.
임은정 서울동부지검장과 김태훈 서울남부지검장 정도를 빼고는 이번에 요직에 기용된 인사들 대부분은 윤석열 정부 시절에도 승승장구한 인물들이다.
윤석열 정부 들어 검사장으로 승진한 노만석에 대해 동아일보는 "동기인 연수원 29기 가운데 윤석열과 근무 인연이 없는 편"이라는 검찰 주변 평가를 전했다.
검찰개혁을 표방한 이재명 정부의 첫 인사인만큼 평가가 분분하다. 한겨레와 한국일보에 이번 인사에 대한 반응이 많이 실렸다.
익명의 부장검사는 한겨레에 "문재인 정부 때처럼 1진, 2진 다 날리고 밑에 있는 사람 올리는 극단적인 인사는 아닌 것 같다. 윤석열 정부에서 부각되지 않은 사람 중에 할 만한 사람을 시킨 듯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법조계 출신 의원도 "대통령실이 (이들에게) 개혁의지를 확인하고 동의를 받아 임명했을 것"이라며 "대통령이 고심 끝에 진행하는 인사인데, 과도한 '친윤 검사' 낙인을 찍어가며 대통령 인사를 이렇게 흔들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일선 검찰청의 한 차장검사도 한국일보에 "정치적으로 편향되지 않고 원칙에 따라 업무를 처리해 온 실력파 검사들이 중용됐다"고 평가했다. 검사장 출신의 한 변호사는 "실력을 우선시하는 이재명 정부의 인사 기조에 비춰보면 노골적인 '보복인사'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일보는 임은정에 대해서는 "정치색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며 대외 활동에 치중한 인물이 검사장으로 중용되면서 검찰 내부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검찰 내부의 우려를 전했다.
그러나 혁신당의 반응은 다르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민정비서관을 지낸 이광철 당무감사위원장은 페이스북 글에서 "인사를 하는 과정에서 고려 요소들을 미처 확인 못하고 간과하는 경우가 있고, 지금이라도 바로 잡는 것은 전혀 흠이 아니다"며 송강 광주고검장과 임세진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1부장의 인사를 재고해달라고 요청했다.
두 사람은 이광철이 무죄를 받은 '김학의 출금금지 사건'을 수사한 검사들이다. 같은 사건으로 함께 기소됐던 같은 당 차규근 의원은 이광철의 글에 "인사 내용을 보고 눈을 의심했다"는 댓글을 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