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부동산 업자도 울고 갈 경제신문들의 '떴다방 보도' 폐해
2025-07-03 17:36:46
신상호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서울 아파트 가격이 불안정해지면서 '부동산 떴다방 언론'들이 또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그들은 대출 규제 등 정부 대책은 모두 무용지물이라고 주장하고, 갭투기 활성화를 유도하며 아파트 분양가도 계속 올라가야 주택 시장이 안정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들 언론들의 행태는 분양 현장에서 비정상적인 아파트값 상승을 부추기는 떴다방 부동산 업자들의 행태와 다를 바 없다.

<매일경제>가 지난 6월 30일 내놓은 보도(실거주 의무에 갭투자까지 막혔다…올해 가을, 서울 전세난 오나)는 정부의 가계부채관리방안을 비판하면서, 갭투기를 막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정부는 지난 6월 가계부채 대책에서 주택담보대출 비율을 줄이고, 담보대출 시 6개월 내 실거주하도록 했다.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액만 내고, 구매 즉시 전세를 놓는 형태의 갭투기는 불가능해진 셈이다. 그런데 이런 실거주요건으로 인해 "전세 물건 유통은 감소"해 전세가격이 오를 것이라는게 <매일경제>의 주장이다. 해당 기사는 부동산 부자들의 자산을 관리하는 소위 '전문가' 의견도 비중 있게 실었다.

<아시아경제>도 1일 보도(갭투자도 못해 월세로 몰려… "대출 규제에 월세값 더 뛰겠네")에서 갭투기 띄우기에 나섰다. 이 신문은 "지금은 잠잠하지만 월세 매물을 찾는 수요는 늘어날 것"이라는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의 '전망'을 인용하면서 정부의 갭투기 금지 조치에 반감을 드러냈다. 이 신문은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를 사실상 금지시키면서 전세 매물이 줄고 전셋값이 뛸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