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쏟아지는 혹평, '오징어 게임'의 패착
2025-07-03 18:48:09
김성호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한국으로부터 세계의 정점에 가 닿은 <오징어 게임>이 6년의 여정을 끝마쳤다. 넷플릭스 역대 가장 성공한 콘텐츠로 꼽히는 이 시리즈는 공개 이후 쏟아진 혹평에도 전 세계 조회수 및 시청시간 1위의 자리를 확고히 지켜내고 있다. 황당하기까지 한 파격적 설정, 456명의 참가자가 목숨을 걸고 거금을 둔 놀이에 참여하게 된다는 이야기가 마침내 그 결말을 드러내는 과정을 국적과 세대, 문화를 달리하는 전 세계인이 함께 보았단 건 그야말로 놀라운 일이다.

시즌3, 모두 6편의 에피소드가 공개된 지난 6월 27일 이래 <오징어 게임> 시즌3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혹평이 많았다. 소문난 졸작들보다도 못한 별점세례를 받고 있는 <오징어 게임> 시즌3은 그 자체로 또 하나의 화제적 물음을 던진다. 대중은 <오징어 게임>으로부터 무엇을 기대했는가. 무엇이 작품을 본 이들을 실망케 하였는가.

어느 모로 보아도 <오징어 게임> 시즌3을 수준 높은 작품이라 할 수는 없다. 만듦새와 연기, 집중할 것과 않을 것을 구분하지 못한 서사의 구성, 시리즈를 성공케 한 참신함을 지속하지 못한 역량부족이 하나하나 그렇다. 그럼에도 이 작품이 받고 있는 혹평을 작품성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는 일이다. 지나친 혹평은 그 아래 감정이, 깨어진 기대가 깔려 있음을 짐작케 한다. 이 작품이 시청자로 하여금 기대하게 한 것, 또 무참히 무시하고 깨뜨린 것이 무언지를 평자라면 마땅히 파헤쳐 볼 일이다.


전 세계를 사로잡은 시리즈의 매력

<오징어 게임>의 뼈대는 단순하다. 재기불능의 밑바닥 인생이 있다. 빚을 지고 갚을 수 있는 여력도 없는, 삶의 끝의 끝까지 내몰린 말 그대로 막장에 다다른 이들이다. 사업실패로, 무리한 투자를 했다가, 마약이며 도박중독으로, 가족이 아파서, 전형적이라 해도 좋을 사유들로 삶의 끝에 내몰린 이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 456명이 벌이는 게임, 최후의 생존자 1명이 456억 원을 가질 기회를 얻는다.

문제라면 이것이겠다. 패배한 455명은 죽는다. 말 그대로 진짜 죽임을 당한다. 때로는 목숨을 건 위험한 게임으로, 또 때로는 게임이 끝난 뒤 진행요원에 의해서 수많은 참가자들이 죽임을 당한다. 이들을 외딴 섬으로 불러들여 한국의 전통놀이라 할 것을 하게 한 이들은 게임이 모두 끝나기 전 이들이 돌아가지 못하도록 막는다. 기실 이들이 막지 않는대도 마땅히 도움을 청할 곳도 없다. 고립된 곳에서 목숨을 건 게임을 벌일 밖에 없는 이유다.

비슷한 설정이 없었던 건 아니다. <배틀로얄>부터 <헝거게임> 시리즈, <이스케이프 룸> 시리즈 등 목숨을 건 게임을 벌이는 수많은 이야기가 익히 존재해왔다. 스티븐 킹의 <롱 워크> 등 비슷한 문학작품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목숨을 건 게임에 임하는 평범한 사람들, 그를 강요하는 집단, 그로부터 우리가 사는 세상의 일면을 보이는 이야기가 세상엔 차고 넘쳤다. 그럼에도 <오징어 게임> 만큼 대단한 성공을 거둔 작품은 익히 없었으니, 그건 넷플릭스라는 전 세계적 유통망을 지닌 OTT서비스의 등장과 정점에 다다른 K콘텐츠의 긍정적 이미지, 무엇보다 입소문을 탈만한 시즌1의 만듦새가 두루 영향을 미쳤다.


특수성과 보편성, 파격과 공감의 어우러짐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