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동네로 이사를 온 지 3년이 넘었다. 언제나 나의 계획은 신선한 채소와 갓 지은 밥으로 저녁을 먹고,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산책을 하고, 글을 쓰거나 책을 읽다가 잠에 드는 그런 하루였다. 그러나 현실은 차가운 음식을 데워 먹고, 핸드폰을 하다가 씻지도 않은 채 잠들어 버리는 일상이었다. 마음은 산책길을 달리고 있지만, 지친 몸은 변함없이 쇼파와 침대에 있다. 결국 집 근처 체육문화센터에 등록을 했다.
그렇게 운동을 시작하지 세 달이 넘었다. 처음에는 온몸이 쑤시고, 조금만 뛰어도 지쳤다. 여전히 흘끗흘끗 시계를 보지만 그래도 몸이 가벼워진 기분이다. 운동이 끝나면 나온 김에 신선한 채소를 구입하러 동네 마트까지 한 바퀴 돌고 온다. 운동량도 늘어나고, 신선한 식품을 먹는 횟수도 늘어난다. 몸의 근육이 만들어지면서 생긴 생활의 작은 변화였다.
몸의 근육을 만드는 데도 이렇게 힘이 드는데 마음의 근육을 만드는 것은 오죽할까. 치매 가족이 된 지도 3년 넘게 시간이 흘렀지만, 부모님을 돌보는 일은 여전히 낯설고 익숙하지 않다. 별것도 아닌 일에도 화가 나고, 별것도 아닌 일에 긴장한다. 도대체 쓸데없는 물건은 왜 주워 오시는지, 주간보호센터는 왜 자꾸 빠지려고 하시는지, 아무것도 아닌 일로 화를 내시는 까닭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전에 보았던 법륜 스님의 영상을 몇 개 시청한다. 영상의 질문자들은 나처럼 치매 부모님을 어떻게 행복하게 해드려야 할지를 질문한다. 그러자 스님은 자신의 마음도 다스리지 못하면서 어떻게 부모님을 행복하게 해드리겠냐고, 연로하신 부모님은 늘 보살펴야 하는 분들이지 걱정해야 하는 대상이 아니라고 하신다. 허를 찌르는 대답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