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파이낸셜경제
디지털 세상을 바꾸는 창작자(크리에이터)들의 열정 현장
2025-07-03 18:15:35
박영진 기자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파이낸셜경제=박영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 이하 ‘인천시’)는 국내 최대 창작자 매체(크리에이터 미디어) 행사인「2025 창작자 매체(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대전 in 인천」을 7월 11일(금)~12일(토) 이틀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전시장 1~3홀)에서 개최한다.

올해로 제7회를 맞이하는 본 행사는 2023년부터 인천시와 공동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매년 2일간의 짧은 일정에도 불구하고 뜨거운 열기를 입증해왔다. 이번 행사는 ‘Let’s make creation’을 주제로 현장을 찾는 관람객, 창작자, 기업 모두가 창작의 주체가 되어 함께 즐기는 소통의 장이 될 예정이다.

7월 11일(금) 행사 첫째 날 열리는 개막식에서는 홍보대사인 ‘히밥’(구독자 169만명)과 ‘씬님’(구독자 143만명)에게 감사장이 수여되고, 건전한 콘텐츠로 선한 영향력 확산에 앞장서는 ‘잠뜰TV’(구독자 232만명)와 ‘정브르’(구독자 142만명)에게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장이 수여된다. 그리고 창작자가 포함된 혼성 그룹 ‘재쓰비’가 축하공연으로 행사의 시작을 알린다.

특히, 7월 12일(토) 행사 둘째 날에는 온 가족이 방문하여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티니핑’ 캐릭터의 퍼레이드, ‘허팝’(구독자 426만명) 과학 실험쇼, ‘니키’(구독자 79만명) 마술쇼 등 볼거리와 인공지능, 확장현실 등 신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된다.

올해 행사는 ▲신인‧인기 창작자의 공연이 진행되는 중앙무대(플레이 스테이지), ▲팬 만남(팬미팅), 각종 경연이 운영되는 행사 및 체험구역(플레이 그라운드), ▲강연, 생방송 상거래(라이브커머스)가 진행되는 생방송 구역(플레이 스튜디오), ▲기업 홍보, 사업 상담이 진행되는 기업관(플레이 콤플렉스), ▲창작자가 운영하는 음식 트럭(푸드트럭), 휴게공간인 반짝 상점(팝업스토어)(플레이 라운지) 총 5개 공간으로 구성된다.

① 중앙무대(플레이 스테이지)에서는 신인·중소 창작자가 끼와 재능을 선보이며, 관람객을 대상으로 댄스·과학·마술 공연 등의 볼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인기 창작자가 참가한 게임 대결을 생중계하며 흥미진진한 경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그리고 메인무대는 행사 기간 동안에 SOOP(국내)과 비고라이브(해외)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되어 현장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해외 시청자를 대상으로 행사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다.

② 행사 및 체험구역(플레이 그라운드)에서는 삼대장(구독자 103만명), 우정잉(구독자 80만명) 등 창작자 16개 팀이 팬 만남을 통해 관람객과 만나며 소통하는 시간을 가진다. 또한, 창작자와 함께하는 운동·댄스 대결, 확장현실(XR)·증강현실(AR)·스포츠 등 체험 프로그램이 상시 운영된다.

③ 생방송 구역(라이브 방송존)(플레이 스튜디오)에서는 닥터프렌즈(구독자 138만명), 참PD(구독자 150만명) 등 전문 창작자가 건강(의학), 음식 등 다양한 주제로 강연(이야기마당<토크쇼>)을 진행하고, 창작자가 LG전자, 모두투어 등 국내 주요 기업과 협업하여 온라인 체제 기반(온라인 플랫폼)에서 생방송으로 기업 제품을 직접 소개하고 판매하는 생방송 상거래(라이브커머스)를 진행한다.

④ 기업관(기업부스)(플레이 콤플렉스)에서는 국내외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사(SOOP, 틱톡, Bigo Live 등)가 소속 창작자와 함께 관람객에게 교육, 행사 등을 제공하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기업*이 최신 서비스를 시현하는 전시관과 여행·식품·장비 등 다양한 분야 기업과 사업 협력을 논의하는 상담관이 운영된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청년 창작자(청년 크리에이터)의 불공정 계약 방지 등 권익 보호를 위해 무료 법률 상담소를 신설하여 저작권 및 계약 분쟁 등 법적 문제에 대한 전문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⑤ 반짝 가게(팝업스토어) 공간(플레이 라운지)에서는 창작자(크리에이터)가 본인이 출시한 제품을 직접 요리 및 판매하며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고, 사진 촬영 구역(포토존) . 안마의자 등 휴식 공간을 마련하여 관람객이 쾌적하게 행사를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다.

과기정통부 류제명 제2차관은 “창작자 매체(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은 매출 약 5조원 규모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유망 분야로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광고·상거래(커머스)·인공지능 기술 창업 등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올해 행사는 그런 변화를 체감하고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될 것”이라며,

“과기정통부는 청년 창작자(크리에이터)가 제작에 전념하고 자유롭게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다양한 산업·기술과 융합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파이낸셜경제 / 박영진 기자 you7984@hanmail.net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