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할머니, 자주 못 와 미안해요" 휠체어 앞에 퍼질러 앉은 아이들
2025-07-12 14:04:57
주일순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캐나다에 사는 남편이, 미국과 영국에 사는 아들과 딸이 한국 방문 일정을 맞추었다. 누구의 생일도, 기념일도 아니었다. 내 어머니, 아이들이 외할머니를 '더 늦기 전에 찾아뵙고, 함께 손을 잡아드리자'라는 마음이 모아졌기 때문이다.

가족과 떨어져 나 혼자 어머니 간병을 한 지 8년째다. 그동안 네 식구가 4개국으로 흩어졌다. 아이들은 각자 시간이 허락될 때 잠깐씩 한국을 방문했지만, 올해 들어 달력이 한 장씩 넘어갈 때마다 어머니 얼굴은 부쩍 희미해져 갔다. 하루가 다르게 쇠잔해지시는 만큼, 가족들의 마음도 무거워졌다.

외할머니 보러 비행기 타고 날아온 가족들


어머니는 아이들에게 특별했다. 아이들이 지구별에 새 생명으로 내려온 그날부터였다. 어머니는 마치 오랜시간 기다려온 사람처럼 품에 안아 씻기고, 기저귀를 갈아주시며 작은 울음에도 귀를 기울이셨다.

아장아장 걷기 시작할 땐 작은 손을 꼭 쥐고 한 걸음씩 세상으로 이끌어주셨고, 나날의 밥 숟가락속에, 학교 가는 뒷모습 속에 늘 당신의 손길이 배어 있었다. 그 사랑은 대가도, 언약도 없이 언제나 그 자리에 있었다. 거친 세상 속에서 부딪치고 주저앉을 때, 할머니의 따뜻한 말 한 마디는 부드러운 담요처럼 아이들의 마음을 감싸주었다.

"괜찮다! 넌 잘하고 있다!"

그 한 마디는 아이들이 다시 걸음을 떼는 용기가 되었다. 아이들은 그렇게 조건없는 사랑 속에서 점차 한 사람의 모양을 배워갔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모든 나날 속에 조용히 스며든 사랑을 안고 먼 길을 달려왔다.

오랜 비행과 시차로 무거운 눈꺼풀을 들어 올리며 곧장 요양원으로 향했다. 접수를 마치고 기다리는데 땀인지 긴장인지 손바닥이 젖어들었다. 초침 소리가 귀에 붙어 뛰는 순간이었다. '딩~'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자, 복도 끝에서 휠체어가 밀려나왔다. 앙상한 어깨, 가느다란 팔, 아이들은 바람처럼 달려나갔다.

"할머니! 경아예요!"
"할머니! 현웅이 왔어요!"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