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서울 월드타워에서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딩>의 프레스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현장에는 크리스토퍼 맥쿼리 감독과 배우 톰 크루즈, 헤일리 앳웰, 사이먼 페그, 폼 클레멘티에프, 그렉 타잔 데이비스가 참석했다.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인류 전체를 위협하는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 내몰린 에단 헌트(톰 크루즈)와 IMF 팀원들이 목숨을 걸고 단 하나의 미션에 뛰어드는 액션 블록버스터다.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8번째 이야기로 1996년 이후 30년간 이어진 이단 헌트 여정의 피날레가 될 예정이다.
12번째 프로 내한러의 여유
톰 크루즈는 1994년 <뱀파이어와의 인터뷰>로 처음 한국에 왔다. 통산 12번째 한국을 찾아 여전한 존재감을 과시했다.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아이콘인 그는 첫 제작 작품인 시리즈의 남다른 애정과 한국을 향한 팬심을 드러냈다.
그는 "4살 때부터 전 세계를 돌며 영화를 만드는 게 꿈이었다. 18세 때 <생도의 분노>(1981)를 찍을 때 저의 모든 것을 스토리텔링에 쏟아붓고 싶었다. 전작보다 나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영화 학교에 다니지 않았지만 현장에서 배운 스튜디오 시스템을 활용했다. 작품의 실수, 좋은 점을 다음 작품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늘 개선해 나가고자 했다"며 영화 제작 노하우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동차, 오토바이, 비행기, 제트기 등을 배우면서 인생 자체가 영화가 되어버렸다. 타국을 돌며 관광만 하는 게 아니라, 그 지역의 문화 속에서 일하고 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12번째 한국 방문이 이를 증명한다"라며 2년 만에 한국을 찾은 소감을 전했다.
그는 미션 임파서블을 제작하며 어느덧 30대에서 60대가 됐다. 하지만 영화를 사랑하고 더 나은 목표를 향한 열정은 여전히 불타올랐다.
그는 "여전히 영화를 잘 만들고 싶은 욕심이 있다. 목표를 정하고 계속 허들을 넘어 다음 레벨까지 끌고 가려 한다. 스턴트뿐 아니라, 스토리, 캐릭터까지도 전작을 뛰어넘을 궁리를 멈추지 않는다. 영화 제작은 다양한 사람과의 공동 작업이라 스토리와 기술을 갈고닦아야 한다. 안전한 것만 찾지 않는다. 영화 제작의 부담감, 책임감도 두렵지만 즐기려고 한다. 영화를 통해 자신, 인류, 세상을 이해하게 되었다. 극한 도전의 불편함, 두려움도 있었지만 미지의 영역을 탐구하고 다음 단계를 향해 나가려고 한다. 네버엔딩이라 답하고 싶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