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정말 다양한 시나리오를 써서 비교하며 고민했었다. 과거 서사를 아예 덜어낸 버전, 조각의 일인칭 시점에서 끌고 가는 버전, 강 선생을 빼고 진행하는 버전 등 여러 개가 있었는데, 결국에는 조각과 투우의 감정이 교차하는 액션 누아르로 돌아오게 됐다."
영화 <파과>는 연출자인 민규동 감독의 말에서부터 출발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시나리오를 쓰고 비교한 뒤에야 지금의 형태에 다다르게 됐다는 말에는 고민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겨져 있다. 아마도 원작 때문일 것이다. 지난 2018년 출판된 구병모 작가의 동명 장편 소설이다. 40여 년간 날카롭고 냉혹하게 청부 살인을 업으로 삼아온 60대 여성 킬러 '조각(爪角)'을 주인공으로 하는 이 작품은 당시 새로운 여성 서사를 탄생시켰다는 찬사를 받았다. 베스트셀러가 된 것은 물론, 전 세계 13개국에 수출되며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주목할 만한 책 100선'에 꼽히기도 했다.
영화적으로도 구미가 당길 만한 소재다. 액션 장르로는 더 그렇다. 여성 서사가 담긴 액션은 종종 있어 왔지만, 60대 여성과 액션이 결합한 작품은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일반 액션도 아닌 여성 킬러다. 냉혹하면서도 단호한,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캐릭터가 필요할 것이며, 이는 격렬한 다툼 속에서도 한 치의 어긋남이 없는 리얼리티를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무엇보다 원작은 인물의 내면과 심리 묘사에 더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노화와 쇠잔의 과정을 겪는 동안 어느덧 생겨나 버린, 지키고 싶은 것들에 대한 감정들이다. 아마도 민규동 감독은 이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방황하고 고민했을 것이다. <파과>라는 영화를 만들기 위해서, '조각'(이혜영 분)이라는 인물을 다시 그려내기 위해서.
02.
"늙고 병들었다고 버림받는 건 너무 잔인하잖아요."
소설 <파과>가 많은 부분을 할애해 '나이가 들어가는 것에 대한 고민과 심리적 변화'를 내면 독백을 중심으로 그려내는 것과 달리, 영화는 이 지점을 초반부에서 훨씬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방역(리스트에 적힌 인물을 요구 조건에 맞춰 암살하는 일) 활동을 하면서도 죽어가는 유기견을 모른 척하지 못하는 모습이나, 실수를 저지른 장비(최무성)를 처리하러 나섰다가 손속을 둬 실패할 뻔한 에피소드, 목격자인 수의사 강 선생(연우진 분)을 규칙대로 처분하지 못하고 살려두게 되는 일 등이 여기에 속한다.
물론 각각의 사건은 이후 다른 지점에서 영화의 또 다른 지점과 연결되면서 이야기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강 선생과의 조우가 투우(김성철 분)와의 강한 연결고리이자, 조각의 인간적인 면모를 건드리는 트리거로 내내 활용되는 식이다. 미묘한 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