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과 주시경의 계보를 이어 한글을 사수하고 대중화시킨 외솔 최현배(1894~1970)는 꼬장꼬장하고 강직했다. 그가 일제 치하에서 한글을 지켜낸 것은 선비 스타일의 강인한 성품에 일차적으로 기인했다.
1942년에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투옥됐을 때 그는 온갖 고문을 겪었다. 1961년 9월 24일자 <조선일보> 4면 인터뷰에서 그는 "1년 동안의 독방살이도 했고 두들겨 맞고 비행기도 타보고 겨울에 물도 먹었고"라고 회고했다. '비행기'는 양손이 뒤로 묶인 채 천장에 수평으로 매달리는 고문을 의미한다.
한자·일본어·영어는 한국 땅에서 단순한 외국어가 아니다. 이 언어들이 한국에서 갖는 의미는 불어·독어·서반어 같은 것들과 차원을 달리한다. 한자·일본어·영어는 한국에 최대 영향력을 행사했거나 한국을 지배한 국가들의 언어다. 한자는 중국의 영향을 받던 시절, 일본어는 일제강점기 시절, 영어는 미군정을 배경으로 이 땅에서 힘을 갖게 됐다.
우리 말을 지키기 위해 일본 유학을 간 최현배
최현배가 지금의 울산시 중구 동동에서 출생한 1894년 10월 19일은 청일전쟁 발발을 계기로 중국과 한자의 영향력이 이 땅에서 급감하던 때였다. 이런 시기에 태어난 그는 한자-일본어-영어가 번갈아가며 영향력을 발휘하는 모습을 지켜봤다. 그는 동지들과 함께 세 언어와의 사투를 거쳐 우리말글을 지켜냈다. 선비 스타일의 성격적 특성은 그런 싸움에서 우리 것을 끝끝내 지켜내는 데 기여했다.
그런데 그는 우리말글을 지키기 위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인물이었다. 때로는 '두 얼굴의 사나이'로 변신하기도 했다.
공부하던 서당이 1907년에 폐쇄되자 그해에 일신학교에 진학하고 1910년 4월에 관립한성고등학교(이듬해부터 경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한 16세의 최현배는 사촌 형의 친구인 김두봉의 소개로 주시경의 조선어강습원에서 한글을 공부했다. <역사비평> 2008년 봄호에 실린 이준식 당시 성균관대 초빙교수의 논문 '최현배와 김두봉'은 "두 사람은 나란히 주시경이 가장 사랑하는 제자로서 주시경의 문법이론과 언어민족주의를 배우게 되었다"라고 말한다.
학교 수업과 별도로 한글 공부에도 매진한 그는 일생을 한글에 바치기로 결심했다. 그런데 그렇게 하려면 언어학 지식이 필요한데, 식민지 한국에는 그것을 가르쳐줄 학교가 마땅치 않았다. 그래서 일본 유학을 결심한다. 식민지 한국 최초의 관비 유학생은 바로 그였다.
경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1915년에 입학한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 문과 제1부는 일본어와 한문을 전공하는 곳이었다. 이계형 국민대 특임교수의 책 <우리 말글을 목숨처럼 지킨 최현배>는 "그가 사범학교에 진학하게 된 것은 당시 일제가 유능한 교원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에서 일본으로 유학 보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말한다.